재고자산
재고자산은 아래의 3가지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.
1) 통상적인 영업과정에서 판매를 위하여 보유중인 자산 - 상품, 제품
2) 통상적인 영업과정에서 판매를 위하여 생산중인 자산 - 재공품, 반제품
3) 생산이나 용역제공에 사용될 원재료나 소모품 - 원재료, 저장품
삼성전자의 감사보고서의 주석사항에도 재고자산에 대하여 어떻게 원가를 산정하여 계산하고 있는지 기록하고 있습니다.
그만큼 재고자산은 자산 중에서 현금성 자산으로 매우 중요한 항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.
재고자산의 단위원가 결정방법
일반적으로 재고자산은 P * Q 로 나타냅니다. 여기서, 재고자산의 단위원가 (P) 를 결정하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.
- 일반적으로 상호 교환될 수 없는 재고자산항목의 원가와 특정 프로젝트별로 생산되는 재화 또는 용역의 원가는 개별법을 사용하여 결정합니다.
- 개별법이 적용되지 않는 재고자산의 단위원가는 선입선출법이나 가중평균법을 사용하여 결정합니다. (후입선출법은 K-IFRS에서 인정되지 않으니 유의합니다.)
- 성격과 용도 면에서 유사한 재고자산에는 동일한 단위원가 결정방법을 적용해야 하며, 성격이나 용도면에서 차이가 있는 재고자산에는 서로 다른 단위원가 결정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합니다.
도소매업과 제조업의 재고자산
1) 도소매업의 원가흐름
20X1년
상품 | |||
차변 | 대변 | ||
기초재고 | - | 매출원가 | 5 |
매입재고 | 10 | 기말재고 | 5 |
합계 | 10 | 합계 | 10 |
20X2년
상품 | |||
차변 | 대변 | ||
기초재고 | 5 | 매출원가 | 20 |
매입재고 | 20 | 기말재고 | 5 |
합계 | 25 | 합계 | 25 |
20X3년
상품 | |||
차변 | 대변 | ||
기초재고 | 5 | 매출원가 | 40 |
매입재고 | 40 | 기말재고 | 5 |
합계 | 45 | 합계 | 45 |
- 자체적인 생산을 하지 않는 도소매업의 원가흐름은 매우 간단하게 처리될 수 있습니다.
- 당기에 매입되는 상품가격이 외부에서 결정되므로, 내부적인 생산을 거치는 제조업과는 달리 복잡한 원가계산이 필요하지 않으며 회계처리 또한 단순한 편입니다.
- 매년 마감 후 이월(Roll over)될 때마다 전기말의 재고가 다음 해에 기초재고를 구성하므로, 특정 해의 손익을 부풀리기 위하여, 원가를 과소계상하기 위하여 재고금액을 조정하는 경우 이후연도부터는 더 많은 재고를 쌓아야만 같은 방식의 분식회계가 가능합니다.
- 투자자 입장에서 재고자산 금액이 점점 많아지는 경우 또는 재고자산이 전체 자산총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해 증가되는 경우 영업부진, 재고진부화 등의 가능성에 대해서 검토해보아야 합니다.
- 재고자산 계정을 통하여 영업손익 등을 좋게 보이기 위하여 재고자산을 부풀려서 계상하거나, 이미 팔린 재고 등을 원가처리하지 않는 경우 등의 분식 사례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. (이러한, 기말재고를 부풀려서 계상했는지 여부를 확인 및 방지하기 위하여 매년 말일자
기준으로 재고 실사를 진행합니다.)
2) 제조업의 원가흐름
20X1년
원재료 | |||
차변 | 대변 | ||
기초원재료 | - | 제조원가 | 5 |
매입원재료 | 10 | 기말원재료 | 5 |
합계 | 10 | 합계 | 10 |
재공품 | |||
차변 | 대변 | ||
기초재공품 | - | 제품제조원가 | 5 |
원재료투입 | 5 | - | - |
기타제조원가 | 10 | 기말재공품 | 10 |
합계 | 15 | 합계 | 15 |
제품 | |||
차변 | 대변 | ||
기초재고 | - | 매출원가 | 5 |
제품제조 | 5 | 기말재고 | - |
합계 | 5 | 합계 | 5 |
- 가장 단순화된 제조업의 원가흐름의 경우 최초 원재료 매입, 재공품 생성, 재공품의 완제품 대체, 제품의 매출원가 단계로 구성됩니다.
- 재고의 투입시점 및 재고자산별로 항목 및 수량, 단가관리가 필요하므로, 도소매업에 비하여, 원가업무의 난이도가 높은 편입니다.
- 재공품의 단계에서 투입되는 기타제조원가의 경우 기계장치, 시설장치 등의 공장설비 감가상각비 및 생산인원에 대한 인건비 등이 포함되며, 발생되는 원가의 성격에 따라 제조원가로 분리할 것인지 판매비와 관리비로 구분할 것인지에 대한 합리적인 구분기준이 필요합니다.
- 내부적으로 투입되는 단가별로 표준원가 계산방식을 통한 원가산정을 통하여, 어떤 부분으로 인하여 원가가 증가하였는지 확인합니다.
ex> 원재료비 증가, 노무비 증가, 제조간접원가 증가 등의 분석을 통한 원가 절감요소를 검토하는 방법
'재무회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단기금융상품이란? 단기금융상품 종류 및 취득시기 (0) | 2022.10.13 |
---|---|
재고자산 계속기록법과 실지재고조사법, 단위원가 결정방법 (0) | 2022.10.12 |
미수수익, 미지급비용, 미수금에 대한 이해 (0) | 2022.10.12 |
선급비용과 선급금의 회계처리 (0) | 2022.10.12 |
매출채권과 매입채무, 매출채권 연령분석, 매출채권 대손처리 (1) | 2022.10.11 |
댓글